1. 프로그래머스 lv1 콜라문제
같은 동작이 반복되는 구조여서 재귀함수로 구현해보았다. 재귀함수는 팩토리얼밖에 구현해본적 없어서 팩토리얼 함수를 떠올리면서 시도해봤는데 맞춰서 뿌듯햐
함수 탈출 조건을 적어서 리턴값이 무사히 나오도록 해주자!
func solution(_ a:Int, _ b:Int, _ n:Int) -> Int {
if n < a { return 0 }
return n / a * b + solution(a, b, (n / a * b) + (n % a))
}
2. (0...k), (k+1...n) 각 범위에 해당하는 코드를 작성하기 위해서 처음에 for문을 두 개 썼는데, 이렇게 하니 코드를 중복하여 쓰는 경우가 생긴다. 이런 경우 (0...n) 범위의 for문 안에서 if문으로 범위를 나누는 것이 더 깔끔하고 효율적이다.
'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240318] 함수 파라미터 주석/랜덤 숫자 (0) | 2024.03.18 |
---|---|
[240317] % 활용하기 (0) | 2024.03.17 |
[240315] 배열비교 (0) | 2024.03.15 |
[240314] 문자열 바꾸기/utf8 (1) | 2024.03.14 |
[240313] 범위연산자 (0) | 2024.03.1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