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2 [CS] 32bit와 64bit 비트(bit)는 이진수의 한자리를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단위로, 0 또는 1의 값을 갖는다. 비트 여러 개를 조합하여 하나의 문자나 숫자, 기호등을 표현을 할 수 있다. 바이트(byte)는 비트 8개를 모아놓은 것으로, 컴퓨터가 데이터를 다루기 위해 사용하는 기본단위이다. 1byte는 256(=2^8)개의 데이터를 표현할 수 있다. cf. 2^10 Bytes = 1KB 2^20 Bytes = 1MB 2^30 Bytes = 1GB 2^40 Bytes = 1TB 32/64bit 컴퓨터에서 bit는 컴퓨터 CPU(중앙 처리 장치)가 데이터를 처리할 때 사용하는 레지스터의 크기를 말한다. 레지스터는 CPU의 임시기억장치로, 소량의 데이터나 처리 중인 중간 결과를 일시적으로 기억해 두는 고속의 전용 영역이다. .. 2024. 3. 7. [CS]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 알고리즘의 복잡도를 판단하는 척도에는 시간 복잡도와 공간 복잡도가 있다. 1. 시간 복잡도 시간 복잡도는 알고리즘의 실행시간을 측정하며, 연산의 횟수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. 알고리즘은 입력의 크기가 충분히 클 때의 성능을 따진다. 따라서 입력이 무한일 때를 분석하기 위해 점근적 분석을 해야한다. 이때 사용되는 표기법이 점근적 표기법으로, 그중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는 빅오 표기법을 사용한다. 빅오 함수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. 즉 빅오 표기법은 수행시간의 상한선을 기준으로 시간 복잡도를 서술하는 것이다. 입력의 크기(n)가 충분히 크다고 가정하므로, 함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최고차항(계수 제외)만을 표기한다. 연산식의 계수보다는 차수를 줄여야 알고리즘의 효율을 늘릴 수 있으며, 이것이 빅오 함수가 시사하.. 2024. 2. 12. 이전 1 다음